Skip to content

FITNEE/FITNEE_Server_Refactor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1 Commit
 
 
 
 
 
 

Repository files navigation

Folder Structure

  • src: 메인 로직 src에는 도메인 별로 패키지를 구성하도록 했다. 도메인이란 회원(User), 운동사전(Dictionary), 마이페이지(Mypage), 루틴(Routine) 등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 혹은 문제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자 설계할 APP을 분석하고 필요한 도메인을 도출하여 src 폴더를 구성하자.

  • configutil 폴더: 메인 로직은 아니지만 src 에서 필요한 부차적인 파일들을 모아놓은 폴더

  • 도메인 폴더 구조

*Route - *Controller - *Provider/*Service - *DAO

  • Route: Request에서 보낸 라우팅 처리

  • Controller: Request를 처리하고 Response 해주는 곳. (Provider/Service에 넘겨주고 다시 받아온 결과값을 형식화), 형식적 Validation

  • Provider/Service: 비즈니스 로직 처리, 의미적 Validation

  • DAO: Data Access Object의 줄임말. Query가 작성되어 있는 곳.

  • 메소드 네이밍룰: 메소드 명명 규칙은 User 도메인을 참고하자. 항상 이 규칙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네이밍은 통일성 있게 해주는 게 좋다.

Comparison

다음과 같이 Request에 대해 DB 단까지 거친 뒤, 다시 Controller로 돌아와 Response 해주는 구조를 갖는다.

Request -> Route -> Controller -> Service/Provider -> DAO -> DB DB -> DAO -> Service/Provider -> Controller -> Route -> Response

Node.js (패키지매니저 = npm)

Request(시작) / Response(끝) ⇄ Router (*Route.js) ⇄ Controller (*Controller.js) ⇄ Service (CUD) / Provider (R) ⇄ DAO (DB)

Validation

서버 API 구성의 기본은 Validation을 잘 처리하는 것이다. 외부에서 어떤 값을 날리든 Validation을 잘 처리하여 서버가 터지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자. 값, 형식, 길이 등의 형식적 Validation은 Controller에서, DB에서 검증해야 하는 의미적 Validation은 Provider 혹은 Service에서 처리하면 된다.

Structure

앞에 (*)이 붙어있는 파일(or 폴더)은 추가적인 과정 이후에 생성된다.

├── config                              #
│   ├── baseResponseStatus.js           # Response 시의 Status들을 모아 놓은 곳. 
│   ├── database.js                     # 데이터베이스 관련 설정
│   ├── express.js                      # express Framework 설정 파일
│   ├── jwtMiddleware.js                # jwt 관련 미들웨어 파일
│   ├── secret.js                       # 서버 key 값들 
│   ├── winston.js                      # logger 라이브러리 설정
├── * log                               # 생성된 로그 폴더
├── * node_modules                    	# 외부 라이브러리 폴더 (package.json 의 dependencies)
├── src                     			 # 
│   ├── app              			      # 앱에 대한 코드 작성
│ 	│   ├── User            		      	# User 도메인 폴더
│   │ 	│   ├── userRoute.js            # route 처리
│   │ 	│   ├── userDao.js            	# User 관련 데이터베이스
│ 	│ 	│   ├── userController.js 	  	# req, res 처리
│ 	│ 	│   ├── userProvider.js   	  	# R(Rea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userService.js   		    # CUD(Create, Update, Delete)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처리  
│ 	│   ├── Routine            		  # Routine 도메인 폴더
│   │ 	│   ├── routineRoute.js         # route 처리
│   │ 	│   ├── routineDao.js        	  # Routine 관련 데이터베이스
│ 	│ 	│   ├── routineController.js  	# req, res 처리
│ 	│ 	│   ├── routineProvider.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routineService.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Process            		  # Process 도메인 폴더
│   │ 	│   ├── processRoute.js         # route 처리
│   │ 	│   ├── processDao.js          	# Process 관련 데이터베이스
│ 	│ 	│   ├── processController.js 		# req, res 처리
│ 	│ 	│   ├── processProvider.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processService.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Mypage            		  # Mypage 도메인 폴더
│   │ 	│   ├── mypageRoute.js          # route 처리
│   │ 	│   ├── mypageDao.js          	# Mypage 관련 데이터베이스
│ 	│ 	│   ├── mypageController.js 		# req, res 처리
│ 	│ 	│   ├── mypageProvider.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mypageService.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Dictionary              # UDictionaryser 도메인 폴더
│   │ 	│   ├── dictionaryRoute.js        # route 처리
│   │ 	│   ├── dictionaryDao.js      	  # Dictionary 관련 데이터베이스
│ 	│ 	│   ├── dictionaryController.js   # req, res 처리
│ 	│ 	│   ├── dictionaryProvider.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dictionaryService.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dev              			      # 
│ 	│ 	│   ├── log.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serverExpress.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middleware              		# 
│ 	│ 	│   ├── gptMiddleware.js       	# R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 	│   ├── jwtMiddleware.js     	  # CUD에 해당하는 서버 로직 처리 
├── .gitignore                     		# git 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폴더, 파일들을 작성 해놓는 곳
├── index.js                          # 포트 설정 및 시작 파일    
├── dev.index.js                      # 포트 설정 및 시작 파일    
├── gpt_test.js                       #     
├── * package-lock.json              	 
├── package.json                      # 프로그램 이름, 버전, 필요한 모듈 등 노드 프로그램의 정보 기술
└── README.md

Description

Node.jsExpress (Node.js의 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Node.js]

  • node index.js 를 통해서 js 파일을 실행한다.
  • node는 js 파일을 실행할 때 package.json 이라는 파일을 통해서 어떤 환경으로 구동하는지, 어떤 라이브러리들을 썼는지(dependencies) 등의 기본적인 설정값 들을 참고한다.
  • npm install npm(node package manager)을 통해 package.json에 있는 dependencies 등을 참고하여 node_modules 폴더를 생성하고 라이브러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이 라이브러리들은 사용하고 싶은 파일에서 require 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press]

config > express.js 에서 expres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app 모듈을 export 하도록 하여 어느 폴더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새로운 도메인을 만들 경우, 해당 파일에 다음과 같이 Route 폴더를 추가하여 express.js에서 만든 app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require('../src/app/User/userRoute')(app);

index.js에서 express에서 만든 app이 포트를 Listen 하도록 구성했다. 포트 번호는 이곳에서 지정해주면 된다.

[mysql2]

Database는 config > database.js에 mysql2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구성했다. cf. connection을 다 사용했다면 release를 통해 꼭 할당 해제를 해야 한다.

[winston]

Log는 winston, winston-daily-rotate-file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구성했다.

Usage

API 만들기 예제

로컬에서 npm install을 통해 node_modules 라이브러리 폴더를 생성한다.

[DB 연결 이후 TEST]

  1. config > database.js에서 본인의 DB 정보를 입력한다.
  2. DB에 TEST를 위한 간단한 테이블을 하나 만든다.
  3. userRoute.js, userController.js, userProvider.js, userDao.js를 구성하여 해당 테이블의 값들을 불러오는 로직을 만든다.
  4. node index.js 명령을 통해 로컬 서버를 구동시키고 포스트맨을 통해 본인이 만든 API 테스트가 잘 되는지 확인한다.

무중단 서비스를 위해 PM2를 사용한다. (JavaScript 런타임 Node.js의 프로세스 관리자)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